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목록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1. 노선 권역 체계
4. 광역급행(미개통)
5. 광역
6. 간선
7. 지선
8. 마을
9. 수요응답형(DRT)
10. 폐선
11. 참조


1. 노선 권역 체계[편집]


현 노선 권역 체계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 이전 연기군 농어촌버스 시절 도시형 버스에 부여하던 노선 번호 체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행정중심복합도시는 과거 남면 지역 권역번호를 계승했다. 이후 읍면 노선 인수 과정에서 연기면이 2권역에서 1권역으로 변경되어 2권역은 신도심이 단독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권역체계가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탓에 61번같이 권역체계와 따로 노는 번호도 존재한다.
  • M노선: 광역급행버스
  • B노선: 바로타(BRT) 소속 노선
  • 1권역: 조치원읍, 연기면
  • 2권역: 행정중심복합도시
  • 3권역: 연동면, 부강면
  • 4권역: 부강면[1]
  • 5권역: 장군면[2]
  • 6권역: 금남면
  • 7권역: 연서면
  • 8권역: 전의면, 소정면
  • 9권역: 전동면
  • 10권역: 광역 노선[3]


2. BRT[편집]


파일:바로타 BI.svg
행복도시권
||




3. 자율주행[편집]


  • 충북·세종·대전 자율주행차량 시범운행지구 내 자율주행 서비스 실증사업을 위해 운행되는 노선이다.

노선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비고
A2반석역오송역세종터미널ㆍ한솔동ㆍ정부세종청사ㆍ해밀동4회[4]청주 A3번과 공동 배차
주말·공휴일 운휴


4. 광역급행(미개통)[편집]


  • 수도권에서 운행하던 광역급행버스와 같은 방식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노선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비고
M7101세종충남대학교병원대전광역시청가락마을 · 종촌초교 · 다정동 · 새롬동 · 한솔동미정미정


5. 광역[편집]


  • 오송, 유성 등 시계외 지역 방면 시내버스(BRT, 마을, 간선 제외)는 세종시 시화인 복사꽃에서 색을 착안해서 도색되었다. 이름은 광역버스이지만 수도권의 고속도로를 달리고 2000원대 운임을 받는 고급좌석버스가 아니라 도시형 입석•일반좌석 노선이다.[5]

노선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비고
1000신안2리반석역홍익대 · 고려대 · 조치원역 · 자이아파트 · 봉암리 · 가락마을 · 가재마을 · 어진중 · 성남고 · 나성동 · 첫마을 · 세종터미널 · 금남면사무소 · 반석역15~20
1001집현동대전시청국책연구단지 - 한국개발연구원(KDI) - 송강마을아파트 - 현대아울렛 - 대덕고등학교 - 통계센터 - 둔산2동주민센터13~17[공동배차]
1004장군면사무소반석역가락마을 · 범지기마을 · 가온마을 · 새뜸마을 · 첫마을 · 세종터미널15~20
1005은하수공원반석역가락마을 · 가온마을 · 새뜸마을 · 첫마을 · 세종터미널15~20

  • 세종 면허로의 신설 논의가 있던 동학사-세종터미널, 계룡-세종 간 광역버스 노선은 각각 공주 360번, 계룡 3002번으로 신설되며 세종 면허로 개통되지 않았다.


6. 간선[편집]


  • 간선 등급 시내버스는 시조인 파랑새에서 색을 착안해 도색되었다. 개편 전 세종교통 시절 도색과 완전히 똑같다. 그리고 2021년 현재 간선 등급 전 노선을 세종교통이 운행하고 있어서 사실상 세종교통 전용 등급이다.

노선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비고
340조치원터미널세종터미널동평리 · 예양리 · 내판리 · 명학산단 · 국책연구단지 · 세종시청50~70분
430꽃동네대학교문곡리 · 세종하이텍고 · 부강역 · 명학산단 · 도담동 · 정부세종청사 · 한솔동30~40분
550조치원역산성동봉암리 · 연기리 · 도담동 · 정부세종청사 · 장군면 · 공주터미널9~11회공주 500번, 502번
공동 배차[6]
551고려대 → 봉암리 → 연기리 → 도담동 → 정부세종청사 → 장군면 → 공주터미널2회
601새나루마을9,10단지봉암리 · 연기리 · 도담동 · 정부세종청사 · 한솔동 · 용포리 · 세종시청 · 국책연구단지12~15분
655세종터미널충남대첫마을 · 용포리 · 감성리 · 국곡리 · 안산동 · (외삼1통[C]) · 반석역 · 노은역 · 유성온천역30분
801민석그린아파트도담동 · 범지기마을 · 월하리 · 조치원역 · 신안리 · 홍익대 · 전동역 · 청송산단 · 전의역20~30분
991국책연구단지대곡리KDI · 세종시청 · 세종터미널 · 정부세종청사 · 도담동 · 연기면사무소 · 월하리 · 조치원역 · 고려대 · 홍익대 · 전동면 · 전의면 · 소정면사무소30분


7. 지선[편집]


  • 지선 버스는 초기에는 도색이 두 종류가 있었는데, 조치원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는 복사꽃에서, 신도심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는 시목인 소나무에서 색을 착안해 도색되었었다.
  • 다만 새마을운동 같다는 등 디자인에 관한 불만을 의식했는지 정류장을 세종도시교통공사가 관리하기 시작하면서 신도심지선도색의 상징을 조치원도색과 같은 복사꽃색으로 전부 바꿔버렸다.

노선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
조치원
11조치원터미널조치원터미널조치원역조치원여중세종고고려대 → 자이아파트 → 번암리 → 조치원전통시장 → 조치원역30분
12조치원터미널조치원터미널조치원역 → 조치원전통시장 → 번암리 → 자이아파트 → 고려대세종고조치원여중조치원역30분
13조치원터미널조치원터미널조치원역고려대세종여고 → 봉산1리 → 방축골 → 대동초 → 고려대 → 조치원역1회
300조치원역신탄진역조치원터미널 · 동평리 · 내판리 · 명학리 · (청정아파트[C]) · 부강역 · 현도40분
910조치원터미널병천고등학교조치원역 · 홍익대학교 · 심중리 · 전동삼거리 · 봉대리 · 수신면사무소 · 상록리조트 · 병천시장3회
장군면
52장군면사무소대교리→봉안리→가재마을→정부세종청사→공정위→세종세무서→새뜸마을→첫마을→이마트→영평사입구→은용리30~45분
53은용리→영평사입구→이마트 ·첫마을→새뜸마을→세종세무서→공정위→정부세종청사→가재마을→봉안리→대교리30~45분
61세종터미널한국영상대학교첫마을 - 이마트 - 금암리45~50분
신도심
201정부세종청사[A]정부세종청사[A]도담동 · 범지기마을 · 가락마을 · 가재마을10~20분,
202정부세종청사남측정부세종청사남측아름동 · 가락마을 · 가재마을10~20분
203, 205세종터미널세종터미널세종예고 · 공정위 · 도담동 · 정부세종청사 · 가온마을 · 새뜸마을 · 나릿재마을 · 세종예고15~20분
204문화체육관광부문화체육관광부국립세종도서관 · 정부세종청사 · 가온마을 · 새뜸마을 · 한솔동 · 세종예고10~20분
221세종터미널세종누리학교호려울마을 · 세종시청 · 새샘마을 · 국책연구단지 · 한뜰마을 · 정부세종청사 · 범지기마을 · 가락마을10~15분
222새나루마을
1단지
축산물품질연구원새나루마을 · 새샘마을 · 세종시청 · 호려울마을 · 세종터미널 · 첫마을 · 새뜸마을 · 가온마을 · 정부세종청사 · 도담동 · 범지기마을15~20분


8. 마을[편집]



  • 지선 버스와 색 유래는 같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구분을 위해서 상대적으로 연하게 칠해져 있다. 또한 옆면에 마을버스라고 적혀있다. 마을버스는 대부분 면내 마을들을 조치원, 용포리 등 인근 요충지로 이어주는 역할이다.

노선번호기점종점경유지배차
연기면
16조치원터미널은하수공원조치원역 · 죽림리 · 번암리 · 월하리 · 봉암리 · 연기리 · 눌왕리 · 수산리8회
17보통1리조치원전통시장 · 죽림리 · 번암리 · 월하리 · 봉암2리 · (보통2리마을회관[C]) · 연기리6회
연동면 · 부강면
31조치원터미널부강면복지회관조치원역 · 노송리 · 응암4리 · 갈산2리 · 부강역10회
32(조치원역[C]) · 노송리 · 내판3리 · 명학산단 · 응암리 · 황룡사 · 부강역15회
33송용3리 · 내판3리 · 명학리 · 황룡사 · 합강공원 · 황룡사 · 부강역8회
35부강버스정류소부강버스정류소금호리 · 산수리 · 저산리 · 행산리 · 갈산리11회
금남면
62세종터미널금강수목원대평리 · 영곡2리 · 원봉1리 · 도남리8회
64금천리대평리 · 발산리 · 감성초 · 축산리마을회관 · 금천1리10회
66달전리금남초 · 장재리 · (→남곡리→) · 영대리7회
661송강마을금남초 · 장재리 · 남곡리 · 영대리 · 달전리 · 둔곡동 · 구룡2통2회
67부용2리대평리 · 금남초 · 장재리 · 황용농협 · 집현리(구.금석초)[7]9회
69신동대평리 · 금남초 · 장재리 · 대박리 · 박산리3회
691송강마을대평리 · 금남초 · 장재리 · 대박리 · 박산리 · 신동2통 · 금고동5회
연서면
71조치원터미널청라리조치원역 · 고려대 · 연서면사무소 · 성제리 · 용암리 · 쌍류리8회
72조치원터미널조치원역 · 번암삼거리 · 국촌리 · 신대리 · 기룡리 · 연서면사무소 · 번암삼거리 · 조치원역8회[D]
73조치원역→번암삼거리→국촌리→신대리→기룡리→연서면사무소→봉산리→조치원역1회
74조치원역→번암삼거리→쌍전리→전당골→자이아파트→조치원역8회
75장군면사무소조치원역 · 번암삼거리 · 봉암리 · 부동리 · 와촌리 · 용암리 · 용현리 · 태산리 · 평기리8회
76조치원터미널조치원역→고려대→연서면사무소→전당골→쌍전리→자이아파트→번암삼거리→고려대→조치원역1회
전의면 · 소정면
81전의역송성3리한국콜마 · 대뿌리 · 신방2리마을회관 · 베어트리파크9회
82다방1리마을회관한국콜마 · 대뿌리 · 대전가톨릭대 · 양곡리 · 달전2리입구 · 달전2리마을회관.부거실아랫마을 · 금사리 · (← 다방2리.수랑골 ←)10회
83전의역늘푸른성호아파트 · 갈정교 · 관정1리 · 고등1리마을회관 · 세종첨단산업단지 · 고등1리마을회관 · 고등2리 · 서정2리 · 서정1리마을회관10회[D]
84늘푸른성호아파트 · 갈정교 · 대추리 · 사광정 · 중대부 · 상대부 · 중대부 · 전의2산업단지 · 하노곡 · 노곡리 · 하노곡 · 신정2리 · 신정1리 · 갈정교 · 늘푸른성호아파트10회[D]
85고등1리마을회관민석그린아파트 · 유천리 · 행정리 · 운당리 · 소정2리.넉바위 · 소정리역 · 소정면사무소 · 소정육교 · 대곡리 · 대교에이스 · 세종첨단산업단지7회
86조치원터미널재동아파트조치원역 · 번암리 · 자이아파트 · 방축골 · 연서면사무소 · 신대2리 · 고복저수지 · 쌍류리 · 다방1리마을회관 · 다방2리.수랑골 · 금사리 · 달전2리입구 · 양곡리 · 대전카톨릭대 · 대뿌리 · 한국콜마 · 전의역4회
전동면
91조치원터미널봉대리조치원역 · 세종고 · 신안리마을회관 · 홍익대 · 조형아파트 · (심중리시민스포츠센터[C]) · 전동삼거리8회
92청람리(동막골)조치원역 · 세종고 · 신안리마을회관 · 홍익대 · 조형아파트 · 전동삼거리 · 보덕2리마을회관 · 석곡리 · 청람1리마을회관8회
93송정리조치원역 · 세종고 · 고려대 · 세종여고 · 봉산1리마을회관 · 예비군훈련장 · 송곡리보건소13회
94조치원역 · 세종고 · 홍익대 · 조형아파트 · 송곡리보건소6회
95송성3리조치원역 · 세종고 · 신안리마을회관 · 홍익대 · 조형아파트 · 전동삼거리 · 개미고개 · (→ 베어트리파크 →)4회


9. 수요응답형(DRT)[편집]



  • 대중교통음영지역 최소화를 위해 운행하는 노선으로써, 일반시내버스와는 다르게 대부분의 운행은 요청시만 운행하는 형식으로 운행된다.
  • 본 목록에는 고정노선으로 운행하는 코스만 상세 기재하며, 기타 예약형 노선의 경우는 해당문서 참고바람.

노선번호기점종점경유지기본운행
금남면
63세종터미널성강리대평리 · 발산리 · 봉암리 · 송곡2리2회[두루타버스]
65두만2리대평리 · 발산리 · 도암리 · (→도암2리→)2회[두루타버스]
장영실고장영실고(학기 중 평일만 운영. 무정차운행)2회
조치원읍 · 연서면
두루타 3조치원터미널와촌리(제공골)조치원전통시장 · 봉산2리 · 연서면사무소 · 월하2리0회[두루타버스]
두루타 4고복리(봉서재)조치원전통시장 · 봉산2리 · 연서면사무소0회[두루타버스]


10. 폐선[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폐선 문서를 참조.


11. 참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5:15:21에 나무위키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접 지역인 청주시시내버스 노선 체계 중 남이면, 현도면, 대전광역시 신탄진동 방면 권역번호 대역(400)과 동일. 현재는 430번만 남아 있다.[2] 인접 지역인 공주시시내버스 노선 체계 중 의당면 방면 권역번호 대역(500)과 동일.[3] 2018년 제2차 세종시 지방대중교통계획에서는 10권역을 대전, 11권역을 공주, 12권역을 청주, 13권역을 천안으로 하는 노선 번호 체계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계획 수립 이후 대전 이외의 지역으로의 광역버스 노선이 현재까지 신설되지 않았고, 신설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계획 수립으로부터 5년이 지나 3차 지방대중교통계획 수립 중이므로, 신설노선에 이러한 권역체계를 적용할 지는 의문.[4] 청주 A3번과의 통합 배차간격.[5] 1001번은 전 차량 입석형 차량이고 나머지 노선은 입석형 차량과 좌석형 차량이 섞여있지만 좌석형 차량이 더 많다.[공동배차] 대전교통, 동건운수, 한일버스와 공동배차[6] 통합 배차간격 약 30분[C] A B C D E 일부만 경유. 자세한 운행방식은 해당 문서 참고 바람.[A] A B 외선 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 내선 산업통상자원부[7] 행복도시 4-2생활권 개발로 인해 무정차 통과중.[D] A B C 순방향 역방향 절반씩 운행. 자세한 건 문서 참고 바람.[두루타버스] A B C D 본 노선은 고정노선형 운영시간대 외에는 예약형으로 이용 가능하다.